|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 1 | ||||||
| 2 | 3 | 4 | 5 | 6 | 7 | 8 |
| 9 | 10 | 11 | 12 | 13 | 14 | 15 |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 30 |
- SSAFY
- IP
- 프로토콜
- 구현
- 스프링
- 개발자
- BAEKJOON
- DP
- 자바
- 개발공부
- 전송계층
- 정렬
- 다이내믹프로그래밍
- TCP
- Java
- 클라이언트
- Lan
- 스프링 부트와 AWS로 혼자 구현하는 웹 서비스
- 네트워크모델
- 알고리즘
- 코딩공부
- Dynamic Programming
- 코딩테스트
- 서버
- 네트워크
- Spring
- 알고리즘공부
- 싸피
- cs공부
- 백준
- Today
- Total
목록Spring (3)
오늘 하루, develop
- 소개지금까지 스프링 빈을 등록할 때는 자바 코드의 @Bean 등을 통해서 설정 정보에 직접 등록할 스프링 빈을 나열했다.그러나 필요한 메서드에 모두 @Bean을 붙이는 것은 귀찮고, 누락할 위험도 있다.그래서 스프링은 설정 정보가 없어도 자동으로 스프링 빈을 등록하는 컴포넌트 스캔이라는 기능을 제공한다. 또 의존관계도 자동으로 주입하는 @Autowired 라는 기능도 제공한다.컴포넌트 스캔과 의존관계 자동 주입에 대해 알아보자.💡컴포넌트 스캔스프링은 설정 정보가 없어도 자동으로 스프링 빈을 등록하는 @ComponentScan이라는 기능을 제공한다.또 의존관계도 자동으로 주입하는 @Autowired 라는 기능도 제공한다. 컴포넌트 스캔을 사용하려면 먼저 @ComponentScan을 설정 정보에 붙여..
- 소개이전 글에서 스프링의 등장배경과 개념에 대해 설명하였다.이전 글을 보면 이런 의문이 들 수 있다."사실 스프링 안 쓰고도 SOLID 지킬 수 있네? 스프링을 왜 써야 하지?"지킬 수는 있으나, 스프링을 사용하면 훠얼씬 더 편하게 객체지향 프로그래밍을 할 수 있다. (싱글톤 보장 등)그렇다면 스프링에 대해 알아보자.💡스프링 컨테이너기존에는 개발자가 AppConfig를 사용해서 직접 객체를 생성하고 DI를 했지만, 이제부터는 스프링 컨테이너를 통해서 사용한다.기존에는 개발자가 직접 자바코드로 모든 것을 했다면,이제부터는 스프링 컨테이너에 객체를 스프링 빈으로 등록하고, 스프링 컨테이너에서 스프링 빈을 찾아서 사용하도록 변경되었다. - 스프링은 모든 게 ApplicationContext에서 시작된다..
- 소개사실 Spring으로 프로젝트를 몇 개 했음에도 Spring이 뭔지, 왜 사용하는지 설명하라고 하면 잘 모르겠다. 너무 추상적이고 막연한 느낌이랄까. 나의 답답함 해소 + 추후 면접 대비를 위해 다시 공부하고 복습하며 Spring 시리즈를 작성하려고 한다.잘못된 내용이 있다면 댓글로 알려주세요 :)- 스프링이라는 단어사실 스프링이라는 단어의 의미는 애매하다. 아래 3개 안에서 왔다 갔다 한다.스프링 DI 컨네이너 기술스프링 프레임워크스프링 부트, 스프링 프레임워크 등을 모두 포함한 스프링 생태계 💡 핵심 개념스프링은 자바 언어 기반의 프레임워크다.자바 언어의 가장 큰 특징 - 객체 지향 언어스프링은 객체 지향 언어가 가진 강력한 특징을 살려내는 프레임워크스프링은 좋은 객체 지향 애플리케이션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