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 1 | ||||||
| 2 | 3 | 4 | 5 | 6 | 7 | 8 |
| 9 | 10 | 11 | 12 | 13 | 14 | 15 |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 30 |
Tags
- 백준
- 스프링 부트와 AWS로 혼자 구현하는 웹 서비스
- TCP
- 서버
- 프로토콜
- Dynamic Programming
- 스프링
- BAEKJOON
- 개발자
- 네트워크
- Lan
- 개발공부
- 네트워크모델
- 클라이언트
- 싸피
- SSAFY
- 자바
- DP
- 다이내믹프로그래밍
- IP
- 코딩테스트
- 구현
- 전송계층
- cs공부
- 코딩공부
- 알고리즘공부
- Java
- Spring
- 정렬
- 알고리즘
Archives
- Today
- Total
목록DB (1)
오늘 하루, develop
회사에서 일을 하면서, DB에 대해 모르는 게 너무 많다는 생각이 들어 DB 공부를 시작한다!김영한님의 스프링 DB 1편을 듣고, 또 관련해서 찾아보면서 공부한 내용을 정리하려고 한다. # JDBC애플리케이션 서버와 DB가 연결할 때 크게 3가지 과정을 거친다.1. 커넥션 연결 : 주로 TCP/IP를 사용해서 커넥션을 연결한다.2. SQL 전달: 애플리케이션 서버는 DB가 이해할 수 있는 SQL을 연결된 커넥션을 통해 DB에 전달한다.3. 결과 응답: DB는 전달된 SQL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응답한다. 애플리케이션 서버는 응답 결과를 활용한다. 그러나, 각각의 데이터베이스마다 이 3가지를 수행하는 방법이 다르다는 것이다.그러면 DB가 변경될 때마다 관련 소스를 모두 수정해야 하고, 그때마다 개발자는 해..
DB
2025. 7. 20. 21: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