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Tags
- cs공부
- 코딩테스트
- TCP
- 서버
- Lan
- 자바
- 클라이언트
- 네트워크모델
- 알고리즘공부
- 스프링
- 구현
- Java
- BAEKJOON
- Spring
- 프로토콜
- 정렬
- 개발자
- 알고리즘
- IP
- 싸피
- 스프링 부트와 AWS로 혼자 구현하는 웹 서비스
- SSAFY
- 코딩공부
- 네트워크
- 전송계층
- DP
- Dynamic Programming
- 백준
- 개발공부
- 다이내믹프로그래밍
Archives
- Today
- Total
오늘 하루, develop
#1. 네트워크와 인터넷 본문
♦ 소개
무언가 공부를 할 때에 가장 중요한 것은, 큰 그림을 알고 가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대학생 때는 수업을 들으며 나무 하나하나만 공부했기 때문에 숲을 보지 못했던 것 같다.
네트워크 공부를 시작하기에 앞서 네트워크와 인터넷이 무엇인지 간단하게 알아보고자 한다!
♦ 네트워크란?
- 컴퓨터나 기타 기기들이 리소스를 공유하거나 데이터를 주고 받기 위해 유선 혹은 무선으로 연결된 통신 체계
- 노드들이 데이터를 공유할 수 있게 하는 디지털 전기 통신망의 하나
- 분산되어 있는 컴퓨터를 통신망으로 연결한 것
♦ 인터넷이란?
- 네트워크들의 네트워크
- 가장 큰 네트워크 통신망
- 세계에서 가장 큰 WAN (전 세계를 커버하는 네트워크)
- 글로벌 네트워크
✔ www
- www은 인터넷을 통해 웹과 관련된 데이터를 공유하는 것
-> 이 전체가 인터넷!
▪ ISP(internet service provider)
- 일반 사용자나 회사 등이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도록 인터넷 연결 서비스를 제공하는 존재
- 인터넷은 각각의 ISP가 관리하는 네트워크가 연결된다.
- ISP도 역할과 규모에 따라 tier가 나뉜다.
- tier1
- 국제 범위의 네트워크를 보유
- 인터넷의 모든 네트워크 접근 가능
- 인터넷 중추 역할 (backbone)
- 실사용자에게 바로 인터넷을 제공하는 경우는 거의 없음
- 다른 네트워크들을 잇는 핵심 역할을 주로 함
- 다른 네트워크를 사용하게 되면, 비용을 지불하게 되는데 tier1은 슈퍼 갑이기 때문에 트래픽 전송 비용이 없음
- tier2
- 국가/지방 범위 네트워크 보유 (우리 나라로 치면 kt, lg 등)
- 일반 사용자나 기업 대상 서비스
- 인터넷의 모든 영역에 연결되기 위해 tier1 ISP에 비용을 내고 트래픽 전송
- tier3
- 작은 지역 범위 서비스 제공
- 일반 사용자나 기업 대상 서비스
- 상위 ISPs에게 비용을 내고 인터넷 트래픽을 구매해서 이를 통해 서비스
- 우리나라는 많지 않음
✔ ISP 네트워크 간에는 어떻게 연결되는 걸까?
라우터를 통해 연결된다!
💡 라우터
- 목적하는 네트워크에 데이터를 보내는 장치
- 서로 다른 ISP가 관리하는 네트워크를 연결하는 역할도 함
♦ 기타 용어
💡 노드 : 네트워크를 이루는 장치 (컴퓨터, 공유기, 모뎀, 라우터 등 모든 장치)
💡 end system / 호스트
- 네트워크의 끝에 있는 노드
- 네트워크를 사용하기 위해 연결된 노드
- 클라이언트와 서버로 나뉨
- 클라이언트 : 다른 호스트의 데이터나 리소스를 요청하는 호스트
- 서버 : 다른 호스트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호스트. 요청에 따라 데이터나 리소스를 제공
♦ 네트워크의 통신 방식
▪ 유니캐스트
- 특정 대상이랑만 1:1로 통신
▪ 멀티캐스트
- 특정한 다수와 1:N으로 통신
▪ 브로드캐스트
- 네트워크에 있는 모든 대상과 통신
♦ 네트워크 프로토콜
- 프로토콜은 일종의 약속, 양식이다.
- 네트워크에서 노드와 노드가 통신할 때 어떤 노드가 어느 노드에게 어떤 데이터를 어떻게 보내는지 작성하기 위한 양식
- 택배는 택배만의 양식, 편지는 편지만의 양식, 전화는 전화만의 양식을 갖듯이,
- 각 프로토콜들도 해당 프로토콜만의 양식을 가짐
- 여러가지 프로토콜을 함께 사용함
✔ 구글과 나는 어떻게 연결되어 있을까?
→ 구글 서버까지 가기 위해 거쳐간 LAN 대역.
→ 구글 서버까지 가기 위해 10개의 대역을 거침
참고
쉬운코드 - 네트워크와 인터넷 (https://youtu.be/oFKYzp6gGfc?si=ltcEz7Uv7HVVpiwE)
따라하면서 배우는 IT - [따라學IT] 01. 네트워크란 무엇인가? (https://youtu.be/Av9UFzl_wis?si=L_y2hjz71OXqdvAx)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6. IP주소의 모든 것 (MAC 주소, Class, 사설IP) (1) | 2024.04.21 |
---|---|
#5. Network(네트워크) Layer - 3계층 (0) | 2024.04.21 |
#4. Data Link Layer - 2계층 (MAC주소, 이더넷) (0) | 2024.04.20 |
#3. 네트워크 모델 (1) | 2024.04.20 |
#2. 네트워크의 분류 - LAN, WAN / STAR, MESH (0) | 2024.04.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