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하루, develop

#4. Data Link Layer - 2계층 (MAC주소, 이더넷) 본문

네트워크

#4. Data Link Layer - 2계층 (MAC주소, 이더넷)

toZoe 2024. 4. 20. 17:25

 소개

OSI 7계층에서 2계층인 Data Link Layer에서 하는 일에 대해 알아 보자 :)


 2계층에서 하는 일

  • 오류 제어, 흐름 제어(누가 누구에게 보내는지) 수행
  • 2계층은 하나의 네트워크 대역 LAN에서만 통신할 때 사용
  • 다른 네트워크와 통신할 때는 항상 3계층이 도와주어야 함
  • 3계층의 주소와 3계층의 프로토콜을 이용하여야만 다른 네트워크와 통신이 가능
  • MAC 주소로 통신

 

MAC 주소

물리적인 장비가 부여받은 고유 주소
  • 16진수 12개로 이루어짐 (16진수 2개당 1바이트이므로, 총 6바이트!)

 

 

♦ Ethernet

2계층의 대표적인 프로토콜 (LAN에서 통신할 때 쓰는 프로토콜)

 

헤더 - 총 14 바이트

  • Destination Address : 목적지의 MAC 주소 (6바이트)
  • Source Address : 출발지의 MAC 주소 (6바이트)
  • Ethernet Type(2 바이트) : DATA 안의 상위 프로토콜이 뭔지 알려줌 (IP인지, ARP인지 등)

MAC주소(좌), 와이어샤크로 확인한 이더넷 프로토콜 헤더(우)


출처

https://youtu.be/HkiOygWMARs?si=GWDH3pIVpVB6UEX9